지역과 교류로 살아나는 '포괄적 돌봄' '민중교역 5년' 발랑곤 바나나를 아시나요? 마을 공동체에서 통합 돌봄, 마을이어서 가능한 십시일반 과일·채소를 다양하게 먹어야 하는 이유! 지역과 교류로 살아나는 '포괄적 돌봄' '민중교역 5년' 발랑곤 바나나를 아시나요? 마을 공동체에서 통합 돌봄, 마을이어서 가능한 십시일반 과일·채소를 다양하게 먹어야 하는 이유!
최신기사 소셜벤처 '마린이노베이션', 친환경 해초 종이컵으로 독일 생분해 인증 획득 SK이노베이션은 자사가 육성 및 지원하는 소셜벤처 '마린이노베이션'의 친환경 해초 종이컵이 독일 국제인증기관 'DIN CERTCO'로부... 새마을금고중앙회, 내달 27~29일 'MG 휴먼 브릿지 청년 창업캠프' 개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 간 청년 실업문제 해결을 통한 지역상생을 위해 사회적기업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을 대상...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길을 보다 지난 5월 19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적 대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한국과 독일 간 좌담회가 열렸다.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 지속가능한 주거권을 위해...'2022 주거권 대전환 포럼' 개최 지난 17일 '2022 주거권 대전환 포럼' 1회차가 열렸다.'2022 주거권 대전환 포럼'은 서울하우징랩과 집걱정없는세상연대, 프레시... 버려지던 산림부산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로 활용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금까지 상품성이 없어 산림 중에 방치되어있는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특징과 탄소중립 효과에 대해 알기 쉽게... 오마이컴퍼니-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사회적경제 판을 열다!' 2차 크라우드펀딩 시작!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오마이컴퍼니와 한국사회적가치연대기금(이하 연대기금)이 함께하는 '2022년 사회적경제 판을 열다! 사회적경제 크라우...
일반기사 소셜벤처 '마린이노베이션', 친환경 해초 종이컵으로 독일 생분해 인증 획득 새마을금고중앙회, 내달 27~29일 'MG 휴먼 브릿지 청년 창업캠프' 개최 버려지던 산림부산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로 활용한다 오마이컴퍼니-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사회적경제 판을 열다!' 2차 크라우드펀딩 시작! "공공시장 진출하고 싶은 사경기업에 길잡이를" 국립암센터, 미술 활동 연계 암환자 사회복귀 지원 서울시, '넥스트로컬 4기' 참여자 모집…지역연계 청년 창업 지원 캠코 등 9개 부산 공공기관, 민간 소셜벤처 투자대상 확대 경기도사회적경제센터, 협동조합 사업화 지원 4개 사 모집 동작구, 1인가구 위한 소통 공간 '씽글벙글 사랑방' 조성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작업치료 기반 돌봄서비스로 차별화 한살림서울생협, 다섯 개 신규 생협으로 새 출발 '시동' 동작구, 취약계층 고용 안정 위한 지역공동체 일자리 참여자 모집
이슈 마을 공동체에서 통합 돌봄, 마을이어서 가능한 십시일반 기후위기 해결책 '기후테크' … 관심갖고 지켜볼 기업 6곳 로컬에서의 삶이 궁금하다면? '강화 유니버스'로! 과일·채소를 다양하게 먹어야 하는 이유! 왜 가난한 사람들은 더 많은 질병에 걸릴까? 누구나 살던 곳에서 돌봄 [찰칵, 포토뉴스] 쓰레기 벗어볼까, 아이들도 살아갈 지구 위해 "정부, 사회적경제기업 활성화 위해 재정·금융지원 확대한다"
현장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길을 보다 지속가능한 주거권을 위해...'2022 주거권 대전환 포럼' 개최 '민중교역 5년' 발랑곤 바나나를 아시나요? '2022 지방선거 사회적경제 매니페스토 실천협약식' 개최…"사회적경제가 양적, 질적으로 도약하는데 기여" 암 요인의 30%는 식생활, 식품에도 암 예방 정보 표기를! "건강한 사회 위한 두 번째 협력"…국립암센터-아이쿱생협, '기픈물 기부전달식' 진행 "암 예방 식품, 쉽게 알고 싶어요" [돋보기] 어떤 위기에도 멈출 수 없는 돌봄, 돌봄 노동의 가치 높여 신뢰 사회를
시선 연재 기고 취재수첩 [독서 오딧세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③] 플라톤의 이상국가 [독서 오딧세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②] 소크라테스의 죽음■ 신이 아테네에 보낸 쇠파리소크라테스의 죽음은 서양철학의 시작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망과 부활이 기독교의 시작이었듯, 소크라테스의 독배는 서양철학사에 있어서 십자가의 사건에 ... [독서 오딧세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①]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살았던 시대■ 폴리스의 몰락진정한 지식인에게는 시대의 위기를 감지하는 특유의 감각기관이 존재한다. 이들은 기득권의 허위를 공격하며, 새로운 시대 질서를 기획하기도 한다. 그래서 때로는 천대받... [독서 오딧세이, 공자와 맹자⑤] 공자와 맹자를 넘어서■ 억압논리로서의 공맹사상언제나 그렇듯 사상의 스승이 남겨준 유산은 시간과 함께 강고한 기득권으로 변질된다. 이것은 공맹의 사상도 마찬가지였다. 지도층의 자기규율의 언어였던 충(忠... 소기행, 더민주 이재명 대선 후보자에 'No 플라스틱 정책' 제안(사)소비자기후행동(이하 소비자기후행동)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선대위에 '탄소중립사회로의 대전환을 위한 No 플라스틱 정책 제안서'를 전달했다고 14일 밝혔다.이날 전달식에는 소비... [퀘벡 사회적경제 이야기] 다큐멘터리 '울 엄마의 협동조합(La Coop de ma mère)' [공공외교캠프 ④] 젠더 이슈, 누구나 이야기해야 한다국가 간 협력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지만, 계속된 코로나 19 여파로 청년들의 국제교류 활동의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난 7월 31일부터 6주간 한국국제교류재단과 공감만세는 ... [퀘벡 사회적경제 이야기] 주거권 투쟁에 뿌리를 둔 사회적주택 운동캐나다 시민사회의 사회적주택 섹터는 20세기 초반부터 협동조합 주택 등 사회적 주택을 보급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면서도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지 못했다. 70년대, 정부 정책 전환을 ... [퀘벡 사회적경제 이야기] 퀘벡의 정부와 시민사회, 투쟁과 협력으로 사회적주택 운동을 만들다퀘벡의 '사회적주택'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적주택 운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정부와 시민사회의 독특한 관계에 있다. 이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주택을 운영하는 ... [공공외교캠프 ③] 청년들이 바라본 디지털 미디어국가 간 협력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지만, 계속된 코로나 19 여파로 청년들의 국제교류 활동의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난 7월 31일부터 6주간 한국국제교류재단과 공감만세는 ... 농협이 꼭 우리밀 제품을 팔아야 하냐고? [신년기획] 겨울을 나는 밀싹처럼겨울의 논밭은 황량하다. 땅은 맨살을 드러낸 채 눈과 바람을 맞으며 겨울을 난다. 작물과 대지의 여신인 데메테르가 딸 페르세포네를 지하세계 하데스에게 빼앗겨 겨울이 생겼다는 그리스... [신년기획] 지역공동체, 함께 가는 것에 대한 즐거움과 고단함에 대하여2021년 라이프인 신년특집 이어 2022년 올해도 이 진행됐다. 2021년 사회혁신, 기후위기,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범상치 않은 개인과 조직을 소개했다. 그리고 사회 전 영역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산림의 가치를 창출하다국가가 소유한 국유림을 돌보고, 가꾸는 조직인 국유림영림단은 전국적으로 138개소가 활동 중이다. 이들은 나무를 심고, 솎아내고 베는 산림사업은 물론 산불 진화와 재해방지, 산림복... 지역과 더불어 산림의 가치를 창출하다국가가 소유한 국유림을 돌보고, 가꾸는 조직인 국유림영림단은 전국적으로 138개소가 활동 중이다. 이들은 나무를 심고, 솎아내고 베는 산림사업은 물론 산불 진화와 재해방지, 산림복... [취재수첩] 미제: 가짜 유기·NON-GMO 유채씨 반입 사건 [생활수첩] 작심삼일과 비거뉴어리, 올해만 벌써 4번째 새로 고침 중올해도 벌써 2주가 지나갔다. 코로나 이후 시간은 아직 2020년에 멈춰있는 것 같은데 벌써 2022년이라니... 임인년의 첫날, 새해 다짐과 함께 작년에 지키지 못한 운동, 독서... [생활수첩] 슬기로운 격리 생활을 마치고지난 12월 중순, 이른 아침부터 아기 어린이집 알림장 어플 알림이 연달아 울렸다. 불안한 예상은 적중했고, 같은 반 친구가 코로나19 확진이라는 소식이었다. 언젠가 우리 가족에게... [취재수첩] 매력적인 조직은 일하는 방식도 달랐다올해 한 해를 정리하며 기자의 머리를 관통하는 단어는 "매력"이다. 매력(魅力)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 끌어들이는 힘을 의미한다. 눈에 띄는 것부터 특정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상당... [생활수첩] 오늘부터 무해하게작년과 올해 방울토마토 농사는 다사다난했다. 작년 여름 무섭게 쏟아지는 장마에 토마토를 지키기 위해 1m가 넘는 화분을 집안과 밖으로 몇 번이나 옮겨야 했고, 올해 유난히 일찍 시...
사람 [청년, 로컬에 살다] "서로가 서로의 안전망이 되는 마을을 꿈꿔요" 인공지능(AI)은 인류에게 어떤 선물을 줄 수 있을까? [인터뷰] 강민수 저자, 한국 협동조합의 새로운 대안으로 '협동조합 허브론' 제시 피스윈즈코리아, 한반도 평화의 바람을 불러오다 [만남, 라이프지기] 박미정 광명시사회적경제센터장 "'씨앗' 뿌리는 일 하는 중" [Mㅓ하시는 Zㅣ요?] 투명가방끈이 만드는 소우주(宇宙) 'DA같이사는집' [만남, 라이프지기] 이은선 교수 "사회적경제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 학생들이 공감하길" 대도시 서울에서 마을을 말하는 이유 "우리는 섬이 아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