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 통계로 보는 사회적경제
- "사회적경제기업, 최근 4년 사이 빠르게 증가"
사회적경제조직 현황(비상경제 중앙 대책본부,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2020.08)
2016년
기업 수 : 20,459
종사자 수 : 248,669
2017년
기업 수 : 22,470
종사자 수 : 253,013
2018년
기업 수 : 24,838
종사자 수 : 265,398
2019년
기업 수 : 27,459
종사자 수 : 284,875
기업 수 연평균 약 10% 증가
종사자 수 연평균 약 5% 증가
- 사회적경제기업 취약계층 고용 현황 (비상경제 중앙 대책본부,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2020.08)
협동조합 취약계층 고용 : 2016년 7만 7000명 / 2018년 11만 2000명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고용 : 2016년 23만 8000명 / 2018년 26만 1000명
- 2,704개소 사회적기업 활동 중(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0. 11)
2007년 이후 4,951개소 사회적기업 신청, 3,212개소 인증
2007년
신청 : 166
인증 : 55
2008년
신청 : 285
인증 : 166
2009년
신청 : 199
인증 : 77
2010년
신청 : 408
인증 : 216
2011년
신청 : 224
인증 : 155
2012년
신청 : 317
인증 : 142
2013년
신청 : 469
인증 : 269
2014년
신청 : 481
인증 : 265
2015년
신청 : 427
인증 : 295
2016년
신청 : 326
인증 : 265
2017년
신청 : 306
인증 : 256
2018년
신청 : 372
인증 : 312
2019년
신청 : 555
인증 : 392
2020년
신청 : 416
인증 : 347
*단위 : 개소
- 사회적기업 설립 경로별 현황(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0. 11)
(예비)사회적기업 : 1,789
(사회적)협동조합 : 390
장애인 작업장 : 206
자활기업 : 186
마을기업 : 52
농어촌공동체회사 : 9
기타 : 585
*단위 : 개소
*설립경로 중복 포함
- "5년 이상 인증 사회적기업 생존율, 평균 70%"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0. 11)
2007년~2015년 인증 사회적기업 대비 현재 유지 기업 비교
2007년 : 63%
2008년 : 62%
2009년 : 70%
2010년 : 61%
2011년 : 68%
2012년 : 80%
2013년 : 73%
2014년 : 76%
2015년 : 80%
-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별 현황
일자리제공형 : 1,796
사회서비스제공형 : 167
지역사회공헌형 : 196
혼합형 : 200
기타(창의.혁신)형 : 345
*단위 : 개소
- 사회적기업 42% 서울, 인청, 경기 수도권에 몰려
수도권 : 1,135
비수도권 : 1,569
합계 : 2,704
*단위 : 개소
- 1,556개소 마을기업 운영 중 (행정안전부 2019.12 기준)
서울 : 95
부산 : 74
대구 : 88
인천 : 53
광주 : 61
대전 : 52
울산 : 41
세종 : 29
경기 : 179
강원 : 120
충북 : 84
충남 : 134
전북 : 105
전남 : 160
경북 : 125
경남 : 120
제주 : 36
*단위 : 개소
- 현재 19,263개 협동조합 활동 중(COOP협동조합 2020.12)
일반협동조합 : 16,679
사회적협동조합 : 2,484
일반협동조합연합회 : 83
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 20
이종협동조합연합회 : 1
*단위 : 개소
- 지역별 일반협동조합 설립현황
서울 : 3,742
부산 : 847
대구 : 688
인천 : 455
광주 : 863
대전 : 647
울산 : 299
경기 : 2,925
강원 : 935
충북 : 521
충남 : 742
전북 : 1,140
전남 : 956
경북 : 789
경남 : 721
제주 : 270
세종 : 145
*단위 : 개소
- 부처별 사회적협동조합 설립현황
국가보훈처 : 1
국민권익위원회 : 1
통계청 : 1
특허청 : 1
기상청 : 2
법무부 : 2
소방청 : 2
통일부 : 2
외교부 : 2
새만금개발청 : 3
금융위원회 : 4
해양수산부 : 6
문화재청 :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8
중소벤처기업부 : 32
여성가족부 : 63
환경부 : 63
산업통상자원부 : 67
산림청 : 72
행정안전부 : 82
농림축산식품부 : 99
국토교통부 : 109
기획재정부 : 121
문화체육관광부 : 192
고용노동부 : 306
교육부 : 429
보건복지부 : 803
* 단위 : 개소
- 자활기업 현황(한국자활복지개발원 2019년 말)
지역자활기업
기업 : 1,136
참여자 : 6,636
광역자활기업
기업 : 37
참여자 : 1,160
전국자활기업
기업 : 3
참여자 : 6,165
- 공공부문 사회적금융 추진실적(한국금융위원회 2020.10)
2,366개 기업에 4,942억 원 공급
대출 : 1,350억 원
보증 : 2,808억 원
투자 : 784억 원
- 은행권 사회적경제기업 대출 잔액 1조 649억 원(한국금융위원회 2020.09)
사회적기업 대출 잔액 비교
2019년 말 : 6,295억 원
2020년 9월 말 : 8,341억 원
"사회적기업 대출 잔액 크게 증가한 데 기인"
- 은행별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실적
기업 : 2,848
신한 : 2,143
농협 : 1,405
우리 : 1,266
국민 : 1,076
하나 : 902
대구 : 287
수협 : 286
부산 : 210
경남 : 200
광주 : 149
* 단위 : 억원
- 지원유형
1) 대출
2) 기부ㆍ후원
3) 제품구매
4) 출자
5) 기타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