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단이 '바다쓰담 캠페인' 지원 단체인 거제해녀아카데미와 함께 수중 정화 활동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거제해녀아카데미는 거제와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녀로 구성된 단체로, 올해부터 '바다쓰담 캠페인'에 함께하고 있다.
해녀들은 생업 터전인 물속에서 쓰레기를 목격한 후 본격적으로 캠페인 활동에 뛰어들었다. 기후변화를 ▲해조류 감소 ▲어종 변화에 따른 수확량 감소 ▲포식성 어류와 위협종 출연 등으로 직접 체감하고 있다.
실제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여름철 수온이 평년보다 약 1도 상승할 것이며, 남부 지방 연안 및 내만 해역에서는 평년 대비 1~1.5도 정도 높은 표층 수온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국내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 톤에서 2020년대 평균 92만 톤으로 계속 감소 중인 상태다.
해녀들은 수온 상승이 작업 중 체온 조절 문제는 물론 바닷속 쓰레기로 인한 해양 오염이 강에 악영향을 줄지 우려하고 있다. 평소 수확하던 해산물들이 폐사하거나 크기가 줄고, 주로 채취하는 미역과 다시마가 고온으로 생육에 지장을 받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하고 있기도 하다.
거제해녀아카데미 소속 활동가 신영 씨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따로 있다. 인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쓰레기를 치우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게 일단 제일 좋다. 지나가는 관광객분들도 쓰레기를 치우는 걸 보고 같이 도와주곤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활동가 박체은 씨는 "바닷가는 바람에 의해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기 쉬워 처리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물속에서 직접 경험한 기후변화는 더없이 위협적"이라며 "바다에서 나는 것을 우리가 먹는다. 바다가 살아야 사람이 산다"며 모두가 깨끗한 바다를 지키는 데 관심을 가져주길 당부했다.
환경재단 진세영 PD는 "바다쓰담 캠페인을 통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성장에 기여하는 단체들을 지원함으로써 그린 임팩트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도 체계화된 쓰레기 모니터링과 분석으로 해양 쓰레기 문제를 개선하고, 일반 대중에게 쓰레기 문제 인식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 코카콜라와 환경재단이 함께하는 '바다쓰담 캠페인'은 지난 2020년에 시작해 작년 12월까지 총 44개 단체를 지원했으며, 388회의 활동을 통해 약 104톤의 쓰레기를 수거했다.
- 자원순환사회연대, '국제 플라스틱 안 쓰는 날' 맞아 텀블러 이용 캠페인 진행
- [BOOKːIN] 카메라로 지구를 구하는 방법
- 성북구의 투명 페트병은 모두 여기로! 성북구, 무인회수기 시범 운영
- 폭염 대비 약자와의 동행…서울시, 에너지취약계층 위해 냉방 물품 지원
- "이제는 정치가 기후를 만나야 할 때"
- "재활용률 14%"…종이팩 자원순환 활성화 위해 '정책'이 필요하다
- 환경재단 '2024 바다쓰담' 성상조사 결과 발표, 파편화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 위협해
- 환경재단-DB손해보험, 어린이 그린리더십 과정 '클린어스캠프' 성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