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지난 25일 일본 혼슈 중남부에 있는 야마나시 현립대학 방문단(이하 방문단)이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 부천시청에 방문했다고 밝혔다.
통합돌봄 시스템은 초고령사회 대비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며 체계적인 ▲의료 ▲요양 ▲일상생활 ▲주거 등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야마나시 현립대학 인간복지학부 및 간호학부 교수로 구성된 방문단은 대한민국 통합돌봄 우수 지자체인 부천시를 방문해 일본의 차세대 돌봄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혜를 구했다.
방문단과 초고령사회 돌봄 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역할과 발전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며, 부천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스템 운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방문단의 질의에 응답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또 방문단은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스템이 실제로 운영되는 현장을 방문해 다양한 직역 간 협력이 이뤄지는 스마트 돌봄과 방문진료 서비스를 직접 확인했다.
방문단 대표인 타카기 히로유키 교수는 "초고령사회의 돌봄 문제 해결법은 부천시에 있는 것 같다"며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Aging in Place)'를 실현하기 위해 부천시처럼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다분야 체계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부천형 통합돌봄 시스템에 대한 깊은 감명을 전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이 사시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계속 유지하려면 의료, 요양, 돌봄, 주거 등의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시민의 다양한 돌봄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부천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이 전국 시군구를 넘어 해외에도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길 바란다"고 답했다.
한편, 지난 2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지역돌봄 통합지원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 지난 3월 26일 공포되면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이 전국화로 나아가는 제도적 발판이 마련됐다.
이에 전국 지자체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도시형 기본 모델로 자리매김한 부천시에 벤치마킹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부천시는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통합돌봄 전국화를 견인할 계획이다.
- 서울시, 약자 불편 덜어주는 기술 개발 기업에 최대 3억 원 지원
- 서울시, 도움 거부하는 사회적 고립 가구 찾아 나선다
- 10년 일해도 無경력…돌봄노동자 처우개선 위해 기본법 제정한다!
- 장기요양수급자 대상 재택의료서비스, 3월부터 전국 72개 시군구로 확대
- "향후 고령화에 따라 돌봄서비스 인력난 더욱 심화될 것"
- 누림센터, '360° 어디나 돌봄 - 장애돌봄 야간·휴일프로그램' 운영기관 선정 완료
- "돌봄 경력 늘어날수록 왜 사회에서는 목소리를 낼 수 없는가?"
- 광주시, "돌봄은 민주주의의 다른 이름"
- [社심가득] "돌봄청년에게는 '함께하는 어른'이 필요합니다"
- 서울시 은평병원, 사회소외층 돌봄 위해 '커뮤니티케어'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