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팩트 측정보고서를 공동 발간한 10개 비영리재단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회적가치연구원
▲ 임팩트 측정보고서를 공동 발간한 10개 비영리재단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회적가치연구원

사회적가치연구원은 '2022 Impact Foundation Forum'을 19일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빌라드지디 강남에서 개최했다.

포럼을 주관하는 비영리 재단·사단 협의체 'Impact Foundation Learning Community'는 비영리 조직의 성과를 기부금액, 수혜자 수 등으로 집계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수혜자의 실질적인 변화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결성됐다. 

올해 2회차를 맞이한 이번 포럼은 여러 비영리재단이 공동으로 비영리사업의 임팩트 측정 결과를 발표·토론하는 자리다. 이에 40개 비영리단체 및 기업에서 110여 명이 참석했다. 

임팩트는 가시화·정량화하기 어려운 개념이기 때문에 개별 비영리재단은 이를 측정하기 더욱 어렵다. 따라서 여러 재단·사단법인이 협의체, 학습공동체의 방식으로 모여 함께 임팩트를 측정하고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고 측정보고서를 발간했다.

각 재단의 임팩트 측정을 위한 자문기관으로 사회적가치연구원과 임팩트 컨설팅 전문기관 트리플라잇이 참여했다.

포럼에서 발표한 임팩트 측정보고서는 ▲한국 비영리재단·사단법인의 사업 영역 ▲실무적 고민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여러 비영리재단·사단법인의 사업 영역인 ▲장학 및 교육지원 ▲연구지원 ▲복지사업 ▲자원봉사뿐만 아니라 ▲비영리스타트업 지원사업도 포함했다. ▲'비영리재단 사업의 효과를 기부자에게 어떻게 설득할까?' ▲'사업은 목적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가?' ▲'임팩트 측정에 쓰일 자료는 있는가?' 등의 고민도 풀어냈다.

임팩트 측정에는 ▲자주 쓰이는 변화이론 ▲천편일률적인 설문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업 맞춤형 설문지로 발전시키는 린데이터 ▲비영리재단 사업의 수혜자, 산출물, 노하우 등 무형자산의 가치를 화폐적으로 추정하는 방법 등 총 3가지 방법이 활용됐다. 

특히 사회적가치연구원은 교육 및 연구지원 사업의 수혜자인 연구자, 연구물, 그리고 이 사업을 운영하는 노하우를 무형자산으로 보고 화폐적 가치를 추정했다. 화폐적 추정의 상세한 과정과 전문가들이 제시한 화폐화의 기준값을 그대로 공개했다. 유사한 사업을 하는 비영리재단뿐만 아니라 교육·연구계 종사자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원자료를 제공한 것이다.

이번 포럼에서 각 재단들이 공동으로 발간한 임팩트 측정보고서, '임팩트 측정의 학습과 연습, Vol.2'는 사회적가치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