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소비자기후행동

>>>>> 사진을 넘겨주세요 >>>>>

 

지난 27일, 서울을 비롯해 부산·대전·제주·청주 등 전국 여섯 개 지역에서 '9·27 기후정의행진'이 동시에 진행됐다. 서울 도심에서는 참가자들이 종각과 시청 일대를 행진하며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응을 촉구했다.

 

서울 집회에는 환경단체 활동가와 노동자, 농민, 청년, 종교계까지 폭넓은 시민이 모여 약 3만 명이 함께한 것으로 집계됐다. 참가자들은 노래와 구호를 외치며 거리를 행진했고, 마지막에는 도로에 드러누워 '죽음을 상징하는' 다이인 퍼포먼스를 선보여 위기의 현실을 몸으로 표현했다. 제주에서는 200여 명이 모여 제2공항 계획 철회와 생태 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조직위는 이번 행진을 통해 △기후정의 관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전환 계획 마련 △탈핵·탈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전환 △반도체·AI 중심의 성장 정책 재검토 △생명 존엄과 기본권 보장 △농업과 농민의 지속가능성 확보 △전쟁 종식과 무기 수출 중단 등 여섯 가지 핵심 요구를 발표했다.

아울러 "올해의 기후정의 걸림돌"로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국토교통부, 오세훈 서울시장, 다국적 기업 몬산토·바이엘, 그리고 이스라엘 정부를 지목하며 정책과 기업 활동이 기후위기 대응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행진은 기후위기를 단순히 환경 문제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정의·평화·생명권 문제로 확장해 바라본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전쟁과 무기산업 문제까지 기후정의 의제에 포함시킨 점이 눈에 띈다.

 

이날 행진에 참여한 소비자기후행동은 현장에서 '미세플라스틱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내 식탁에 더 이상 플라스틱은 안 된다"는 구호를 외쳤다. 일상의 소비와 먹거리를 통해서도 기후위기 대응이 시작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행진을 마친 주최 측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와 전환이 시급하다"라며 정부와 기업의 근본적 변화와 시민사회의 연대를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