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사)소비자기후행동은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에너지의 날을 맞아 '우리집도 RE100, 소비자 녹색전기 선택권을 보장하라'를 표어로, 폭염과 기후재난 시대에 소비자도 재생에너지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모았다.
소비자기후행동은 "폭염은 불편을 넘어 재난이 됐다"라며 "냉방 수요 증가는 화석연료 발전 확대를 불러오고, 이는 다시 폭염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든다.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수진 대표는 "기후위기 대응은 생존의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여전히 산업 성장 중심에 머물러 있다"라며, "지난해 시작한 소비자 녹색전기 지지 서명은 1만 명을 훌쩍 넘었고, 에너지의 날 캠페인에서도 일주일 만에 1천여 명이 참여했다. 시민들의 요구를 정책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기후행동 호남의 오인숙 대표는 해외 사례를 들어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미국,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일본, 호주 등은 이미 일반 소비자에게 재생에너지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나라일수록 재생에너지 확대가 가속화되고, 다양한 요금제가 경쟁을 이루며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주택용 전기 소비자에게 재생에너지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iN아이쿱생협 이유진 이사장은 "우리는 매달 전기요금에 포함된 기후환경요금을 성실히 납부하고 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권리는 주어지지 않고 있다"며 "폭염, 폭우, 가뭄 같은 기후위기가 우리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지키기 위한 절대적 과제이며, 정부와 국회는 국민의 목소리에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기후행동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다음 세 가지 요구를 제시했다.
1.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하라.
2. 모든 소비자에게 녹색전기 선택권을 보장하라.
3. 에너지 사업과 기후위기 대응의 정책 수립, 이행 기능을 하나의 부서에서 통합 관리하는 체계로 개편하라.
기자회견문 낭독 후에는 소비자 녹색전기 선택권 보장을 강조하는 퍼포먼스가 이어졌다. 현장에 모인 시민들은 손팻말을 높이 들고 "우리집도 RE100"을 외치며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소비자기후행동은 "소비자가 직접 녹색전기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며 "재생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