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하 도 사경원)이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세미나 '제3회 임팩트마이크'를 7일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했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하 도 사경원)이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세미나 '제3회 임팩트마이크'를 7일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했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하 도 사경원)이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세미나 '제3회 임팩트마이크'를 7일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사회연대경제조직과 중간지원기관 종사자의 임팩트투자 이해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도 사경원은 올해 총 9회에 걸쳐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자금조달 전략 등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했으며, 이번 행사를 포함해 총 183명이 참석했다. 

또한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 90개소를 대상으로 경기임팩트펀드 운용사를 통해 연계 투자를 지원했다. 이 가운데 투자 역량이 높은 24개 기업에는 투자 가능성 진단 및 맞춤형 멘토링 등 1:1 상담을 제공했다. 
 

▲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하 도 사경원)이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세미나 '제3회 임팩트마이크'를 7일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했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하 도 사경원)이 도내 사회연대경제조직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세미나 '제3회 임팩트마이크'를 7일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했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유훈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은 "도내 사회적경제조직의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위해 경기임팩트펀드 조성 및 투자 연계 지원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도내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속 가능한 금융환경 조성을 위해 작년부터 총 1,063억 원의 경기임팩트펀드를 조성했다. 경기임팩트펀드를 통한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은 경기도사회적경제원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올해 라이프인은 사회연대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사회적경제'에서 '사회연대경제'로의 용어 변경을 제안한다. 다만, 원활한 내용 전달을 위해 사회연대경제 용어가 정착되기 전까지 사회적경제와 사회연대경제를 병기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