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은 탄소중립을 이행하고 기후테크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녹색벤처기업 특례보증'을 1천억 원 규모로 공급한다고 4일 밝혔다.
탄소중립의 핵심기술인 기후테크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혁신기술을 말한다.
지원대상은 ▲기후테크 분야 제품 생산 또는 기술 보유 ▲기후테크 혁신기술에 대한 R&D를 추진 중인 '벤처인증기업'이다. 신보는 기업 당 최대 4억 원 한도 내 운전자금을 지원하고, 보증비율 우대(90~100%), 보증료율 차감(최대 0.4%) 등 다양한 혜택을 통해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대폭 완화할 예정이다.
앞서 신보는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신·재생 에너지 기업을 위한 '녹색보증' △2022년 탄소중립 추진 기업을 위한 '녹색 공정전환 보증'을 도입해 지난해 말까지 각각 3,591억 원, 5,430억 원의 보증을 누적 공급했다.
그 공로로 지난 2021년 '탄소중립 에너지산업 발전 유공 대통령 표창'과 2022년 '지속가능경영유공-종합 ESG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등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서 지위를 인정받았다.
신보 관계자는 "이번 특례보증은 최근 투자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벤처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핵심 성장동력인 기후테크 산업 육성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ILO 협동조합 부서장 "사회연대경제 가치에 주목, 실제적 필요가 정책에 반영되도록 지원할 것"
- 사회적경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최적의 파트너
- 자립준비청년의 전문가 멘토단 '언제나 내 편' 발대식 개최
- ESG 실질적 구현 위한 '기업-기관 거버넌스' 구축 방안 논의
- 경기도 5대 사회 난제, 사회적경제로 해결하기 위한 출항 알려
- 한국법제연구원, 오는 14일 '제6차 국제 ESG 법제 포럼' 개최
- 한국사회투자, '스타트업 ESG 평가체계' 구축 "ESG 투자 강화할 것"
- 사회연대은행, 지역문제 해결 위해 청년인재 육성한다
- "기후테크는 블루오션, 진정성과 혁신으로 도전해야"
- 신용보증기금, 지방주도 균형발전을 위한 '글로컬 스타트업 특화보증' 출시
- 신용보증기금-협업VC 공동 IR 'KODIT StaIR' 개최
- "한국 경제 규모 대비 녹색금융 정책 실행력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