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주최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친환경 및 ESG 종합 박람회 '2024 대한민국 ESG 친환경 대전'이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2004년 '친환경상품전시회'로 시작해 '저탄소 녹색성장 박람회'에서 '대한민국 친환경 대전'으로 재변경되었고, ESG와 녹색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됐다.
오는 12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는 총 210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410개의 전시관이 마련됐으며, 특히 ▲플라스틱 ▲차세대 패키징 ▲그린마켓 등 주요 주제로 특별관이 조성된 점도 주목할 지점이다. 다양한 부스를 통해 관람객들이 탄소중립, 자원순환, 환경보전을 아우르는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전시회에 참여한 기업들은 최신의 친환경 기술과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며 ESG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0일과 11일에는 분야별 산업 전문가로부터 최신 ESG 트렌드를 듣는 '대한민국 ESG 포럼'이 행사장 내에서 진행된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의 홍종호 교수는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ESG 경영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포럼의 문을 열었다. 홍 교수는 과거의 산업화로 인해 증가한 탄소 배출 문제를 언급하며,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필수 과제임을 강조했다.
특히 대한민국의 산업 발전 과정에서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 간의 시각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기후변화에 대한 공동의 책임과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기후 위기 앞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은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고 미래를 위해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며,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수적임을 전했다.
이 외에도 행사에서 다양한 강연과 토론을 통해 기업과 정부, 학계, 시민사회가 함께 ESG 경영과 친환경 실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유럽연합(EU) 등 국제 사회의 탄소무역 장벽 규제 대응을 위한 기업의 경영 전략과 사례를 공유하고, ▲아랍에미리트 등 7개국 해외 구매처가 참여한 해외수출 상담회 ▲공공조달 구매 상담회 ▲차세대 친환경포장 상담회 등 기업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한 상담회도 운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