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교육 전문기업 언더독스가 서울시 중구 신당동에서 다양한 기업의 ESG 및 사회공헌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2022 언더독스 페이스메이커 세미나'를 성료했다.
언더독스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창업 생태계 육성 사례 발표 및 2023년도 ESG 실천 방향성 전망과 지역정착형 창업가, 중소상공인 역량강화 등 로컬 창업 생태계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미나는 ESG 활동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전략적인 실행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대신경제연구소 ESG연구실 오현주 팀장의 '기업의 평가대응' ▲SK E&S 기획팀 최은정 매니저의 '로컬라이즈 군산 사례로 보는 차별화된 ESG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언더독스 조상래 대표와 박병룡 코치팀장의 'ESG 프로그램 기획 워크샵' 등으로 진행됐다.
대신경제연구소 ESG연구실 오현주 팀장은 강의를 통해 "ESG는 규제 강화 외에도 투자자 및 소비자의 요구로 인해 그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ESG를 트렌드가 아닌 경영 전략으로 인식하고, 기업의 ESG 활동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 중 어떤 평가에 무게 중심을 두고 기업 활동을 이어 나갈 것인지가 기업의 진정한 소통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K E&S 기획팀 최은정 매니저는 '로컬라이즈 군산' 사업을 사례로 들어, 기업의 활동이 지방소멸 대응에 기여하는 ESG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소개했다. 최 매니저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전략으로 단기적인 인프라 개발이 아닌 장기간의 창업팀 육성을 중심으로 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역정착형 창업이 지역 내 소상공인과의 발전적 교류와 지역 외부 자원 유치 등 부가적인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조상래 언더독스 대표는 "기업의 ESG 경영실천이 점점 중요해지는 가운데, 소셜 임팩트를 필요로 하는 과제들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며 "언더독스가 마련한 페이스메이커 세미나를 통해 지방 소멸과 소상공인과의 경쟁력 등을 함께 강화할 수 있는 창업가 육성 등의 사례가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언더독스는 로컬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역정착형 창업가 육성 및 중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통한 로컬 창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역정착형 창업교육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전국 단위 창업교육 ▲소상공인 역량 강화 등 주제별 실제 진행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 언더독스-윤민창의투자재단, '청소년 위한 지속 가능한 창업 생태계 지원' MOU 체결
- 언더독스, 소셜 임팩트 예비창업팀 '임팩트웰 아카데미' 2기 모집
- 언더독스-에이블런, 업무협약 체결∙∙∙데이터 드리븐 창업가 양성 앞장
- 언더독스, SK넥실리스-사회연대은행과 '조인정읍 공유가게 2.0' 신규 오픈
- 언더독스-이지스자산운용, '이지스 임팩트 스테이지' 참여 창업팀 모집
- 언더독스-스타트업레시피, '창업가 성장 및 창업 생태계 발전' 위한 MOU 체결
- 언더독스-더웨이브컴퍼니-영월군, '레지던스 in 영월' 창업 프로그램 참여 팀 모집
- 언더독스-사랑의열매, '비영리 스타트업 오픈 아카데미' 3기 참여팀 모집
- "군산으로 모여라!"…언더독스, SK E&S와 '로컬라이즈 군산 페스티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