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사회연대경제)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포럼이 오는 20일 개최된다.

'2025 사회적경제 정책 포럼 - 사회적경제 지속과 발전'은 오후 3시부터 5시 30분까지 소셜캠퍼스 온 서울1센터에서 진행되며, 사회연대경제조직 임직원과 중간지원조직 실무자 등 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정책 변화 속 사회적경제, 중대한 전환점 맞아

새 정부 출범 이후 사회연대경제 정책 환경이 급변하면서 지역 기반 사회연대경제 생태계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존속과 운영방식, 제도적 기반 등이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중요한 분기점에 있다.

이번 포럼은 이러한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치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를 설계하기 위해 마련됐다. 각 자치구의 현장 목소리를 모아 공동 정책요구안을 도출하고, 자치구 협의체 재가동을 통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중간지원조직의 필수성 재조명

최근 일부 자치구에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직영화, 기능 축소, 운영 불안정성 등의 위기가 발생하면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재조명이 시급한 상황이다.

각 자치구의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지역 기반 사회적경제 생태계 유지의 핵심 기반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정책 변화와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구조조정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동시에 지방정부와 자치구 단위의지원체계 축소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적경제 현장에서는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포럼은 개회 및 인사말에 이어 1부 발제에서 ▲변화하는 정책 환경과 새정부 사회적경제 설계(김영식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장) ▲자치구 센터 모범사례(김지숙 구로 센터장) ▲연대와 협력으로 만드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강민수 한국사회연대경제 상임이사) 등이 진행된다.

2부 정책 토론회에서는 '정책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중간지원조직,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패널 토론이 열린다. 이종한 서사연 의장을 좌장으로, 강민수 상임이사, 김영식 사무국장, 김지숙 센터장(구로), 정명훈 센터장(강북)이 패널로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공동 정책제안과 2026년 지방선거 대응 기반 마련

이번 포럼에서는 자치구 간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 체계 마련, 각 자치구 사회적경제센터의 존속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 기반 확보, 공동의 메시지를 담은 선언문 또는 정책제안서 발표 등의 성과가 기대된다.

특히 단순한 현황 공유를 넘어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우수사례와 현장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2026년 지방선거를 계기로 사회적경제 정책을 공약화하고 매니페스토를 통해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며 변화된 제도 환경 속에서 현장의 자율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포럼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변화하는 정책 환경 속에서 사회연대경제 생태계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사회연대경제의 공공성과 현장의 지속가능성을 더 깊게 고민하고 실마리를 찾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참여 신청은 구글 폼(https://forms.gle/PVJpJmfZBGg6njvc8)을 통해 선착순 50명까지 가능하다.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