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사회적협동조합 빠띠가 11월 14일, 지스트 대학 A동에서 과학과 사회의 접점을 시민과 함께 탐구하는 공론장 ‘2025 GIST 과학인의 대화’를 개최한다.
‘2025 GIST 과학인의 대화’는 GIST의 ‘건강한 공론장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이번 공론장에선 참가자들이 미리 준비된 9개의 질문에 답하고, 자신과 생각이 다른 참가자와 일대일 대화를 나눈다.
가이드라인조차 없는 현실, 그래서 대화가 필요하다
‘2025 GIST 과학인의 대화’는 ‘과학기술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더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에 대해 시민들이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문제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 취지다.
최근 일부 대학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시험 부정행위가 발생하며 윤리적인 활용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14일 개최되는 공론장에선 생성형 AI 활용 등 일상에서 마주하는 기술을 주제로 시민들이 직접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이번 공론장은 ‘정답을 제시하는 과학’이 아닌 ‘함께 묻고 고민하는 과학’을 만들기 위한 시도다.
네 가지 주제로 여는 과학과 사회의 질문
공론장과 함께 온라인에선 AI 등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투표가 진행된다. 투표는 △AI, 이대로 정말 괜찮아? △과학기술과 사회 불평등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기후위기, 지금 우리가 당면한 과제 △사회 속의 과학자, 가치중립은 가능한가? 등 네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공론장 플랫폼 ‘빠띠 시민대화’를 통해 누구나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 후에는 참가자 개인의 답변이 별로 표시된 은하가 구성된다. 은하에서는 참가자의 답변과 다른 시민들의 답변을 비교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AI 시대의 과학, 중립이 아닌 책임의 과학으로”
‘2025 GIST 과학인의 대화’는 대화형 공론장으로 시민의 참여가 중심이 된다. 이번 공론장에선 학생, 연구자, 시민이 함께 △AI의 책임 문제 △기술 발전과 사회 불평등 △기후위기 대응 △과학자의 시민적 역할 등 오늘날 과학이 마주한 질문을 함께 나눌 예정이다. 기존의 강연, 세미나 등 전문가 중심의 논의를 넘어 과학기술의 영향을 받는 당사자 시민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전달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를 기획한 GIST신문은 “지금의 대학생은 서로 다름에 대해 이야기하고 경청할 자리를 찾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번 행사가 학생들이 그런 답답함을 해소하고 사고를 넓힐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경계를 넘어 다른 생각을 잇다’라는 부제처럼, 이 행사를 시작으로 앞으로는 대학이라는 경계도 넘어 더 많은 시민과 연구자들이 우리가 당면한 질문에 대화할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김연수 이사는 “AI 시대의 과학은 책임의 문제이며, 이번 시민대화를 통해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그 방향을 묻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