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표 총괄표 - 3개의 평가 관점에 따라 5개 범주, 총 14개 지표로 구성.
▲ 지표 총괄표 - 3개의 평가 관점에 따라 5개 범주, 총 14개 지표로 구성.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회적가치지표(SVI: Social Value Index) 측정기업 모집을 시작한다. 1차 모집은 오는 4월 21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올해는 총 4차에 걸쳐 측정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사회적가치지표(SVI)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성과와 그 영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다. 사회적 성과, 경제적 성과 및 혁신성과 등 3개의 평가 관점에 따라 5개 범주, 총 14개의 지표를 평가한다. 

올해부터는 그간의 사회적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표를 개선했다. 먼저, 기업 간 격차를 정확히 반영하고자 사회적가치지표(SVI) 평가 등급을 기존 4등급(탁월-우수-보통-미흡)에서 5등급(탁월-우수-양호-미흡-취약)으로 세분화했다. 또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규모별 격차를 고려하여 기업 규모별로 평가 기준을 차등하여 적용한다.

올해는 약 1,000개소의 (예비)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가치 측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신청기업은 사회적기업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회적가치지표 측정 '자가진단'을 통해 측정점수를 사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신청할 수 있다.

참여기업들은 측정 결과를 활용해 자치단체, 민간기업 등이 진행하는 총 30여 개 지원사업의 가점 등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시의 미래청년 일자리사업에서 사회적가치지표(SVI) 우수 이상 기업은 서류심사 가점이 있으며, 하나금융그룹의 '하나 파워 온 혁신기업 인턴십 지원사업'에서도 가점을 받는다. 이러한 공공·민간의 지원프로그램 가점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 사회적기업에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올해 고용노동부·진흥원에서는 '도약지원사업'을 신설하여 80개소에게 최대 4천만 원의 사업개발비 등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사회적가치지표(SVI) 탁월·우수기업만 참여가 가능하다. 내년부터는 미흡 이하 기업은 공공구매에서 제외될 예정이므로 공공구매 참여 예정인 사회적기업은 올해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을 완료해야 한다.

권진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사회적기업도 사회적가치 측정에 참여함으로써 운영 성과를 스스로 진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 말했다. 또한 "앞으로 정부는 사회적가치가 우수한 기업이 확산될 수 있도록 사회적가치지표 측정 결과와 지원사업 연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진흥원 4월 21일부터 5월 12일까지 '사회적가치 포털'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