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사태 이후 민주주의의 위기가 지속되는 지금,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에서 민주주의를 지킬 방법에 대해 2천 명의 시민이 함께 논의했다.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는 시민들이 다양한 사회 이슈에 관해 대화하고 행동하는 시민 활동 플랫폼이다. 지난 1월부터 현재까지 민주주의를 지킬 방법에 대해 2,000명의 시민이 4개의 투표에 참여하고, 8개의 토론글을 나누고, 4개의 팩트체크 활동을 진행했다.
'서부지법 폭동, 어떻게 처벌해야 할까요?' 투표에는 1월 20일부터 3월 12일까지 총 33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그 결과 '소요죄를 적용해 강력 처벌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81%, 268명), '수사 후 훈방조치해야 한다'는 응답은 5%(27명)였다.
'극우 유튜버 수익 창출 중단해야 할까요?' 투표는 총 336명의 시민이 1월 23일부터 3월 12일까지 참여했으며, '수익 창출 중단 외에 다른 제재도 필요하다'는 답변을 선택한 시민이 가장 많았다(59%, 198명). '정당한 활동을 막아서는 안 된다'는 응답은 6%(21명)였다.
'부정선거 음모론 등 극우 세력 주장을 언론이 보도해야 할까요?'를 묻는 투표에는 총 135명의 시민이 2월 4일부터 3월 12일까지 참여했다. 투표 결과 '검증하면서 보도하려면 다뤄야 한다'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비율(35%, 47명)을 차지했고, '보도하면 내란 세력의 스피커가 된다'고 답한 사람이 30%(40명)였다.
찬성에 투표한 hyun 빠띠즌은 "기자들도 자극적인 제목으로 클릭 수를 유도하는 이유가 (유튜버들처럼) 수익 때문이라면, 언론계의 구조적인 문제를 재정비하고 점검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2월 5일에는 투표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민대화 모임을 진행했다. 지난 설 연휴 진행한 시민대화 '설날 밥상 특파원의 우리집 정치 이야기'에는 30명의 시민이 모여 탄핵 정국과 민주주의를 지키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토론과 팩트체크도 이어졌다. 조선희 저널리즘 연구자는 "부정선거 '개소리' 시대에 따옴표 저널리즘이 불가능한 이유"를 말하며 기자의 역할을 지적했고, 수호 독립활동가는 "신분증 제시와 얼굴 공개는 체포 영장 집행 과정에서의 법적 의무다?"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팩트체크 했다. 그 외의 활동들 역시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에서 볼 수 있고, 시민 누구나 투표·토론 등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빠띠 권오현 대표는 "많은 시민들이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무너질까 염려한다"며 "함께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주말의 광장을 넘어 시민들이 대화하고 행동하는 일상의 공간을 만들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빠띠 월간이슈'는 사회 현안을 해결하는 시민 활동 프로젝트로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 플랫폼을 활용해 데이터톤, 시민대화, 캠페인, 뉴스 에디터톤 등의 활동을 진행한다. 현재 산양, 공론장 DEI, 기후정치 등이 진행 중이고, 앞으로도 시민들이 주목해야 할 이슈를 선정해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진행 중인 월간 이슈는 빠띠 시민대화 '질문'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