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해야'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보고서에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감독할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을 설립하는 등 경기도형 사회적금융 생태계를 조성해야한다는 내용이 주로 담겨 있다.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은 재무적 이익과 함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추구하는 금융으로 사회적경제 기업 등에 대한 투자·융자·보증 등의 금융 활동부터 보조금, 자선활동, 사회책임투자까지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금융은 중소기업·서민 정책금융 지원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원은 사회적금융은 주로 중소기업·서민 정책금융 지원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대출 지원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사회적경제 육성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금융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농협 및 수협 등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을 사회적경제 조직의 하나로 규정해 지역 금융기관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은 지방자치단체에게 이양해 지역 기반 관계 금융의 형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역 관계 금융은 사회적경제를 지원하고 금융소외계층들을 위한 금융이 될 수 있어 사회적 가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원은 경기도가 추진하는 사회적경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기반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 및 경기도형 사회적 금융 모델로 구축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지역 단위 도매기금 운용기관으로서의 역할 추진 ▲사회적경제 기금 소셜임팩트 펀드 투자뿐 아니라 비영리 융자, 온라인을 통해 대출-투자를 연결하는 P2P 연계 등 다양한 금융 수요에 대응 ▲경기도 사회적금융 생태계 구축을 위해 ‘(가칭) 경기 사회적 금융 협의회’를 구성 및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육성 등을 제시했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금융 생태계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사회적금융 생태계 기반으로서 지역 관계 금융 강화가 필요하다"며 "일반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일반은행의 사회적금융 관련 대출 및 투자 비중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 사회적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회투자자로서 민간 공익법인의 참여 활성화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의 설립과 활성화가 필수 요건이다"라고 말했다.
- 수도권 대기질 개선성과, 유엔환경계획과 공동보고서로 국제사회에 알린다
- "사회적금융이 지역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 [연말기획] 견리망의의 시대, 2023년도 소셜섹터 돌아보기(上)
- [이제는 SSE] 정의당 장혜영 "지나치게 포괄적인 '사회적경제'보다 연대·협력을 보여주는 '사회연대경제' 더 바람직해
- [사회적경제기업, 그 생생한 현장을 가다] 지역에서 생산한 가치가 지역에 머물도록 지원하는 지역화폐
- "사회적경제 예산 삭감, 원상복구하라!"…공동대책위원회 18일 출범
- 사회연대은행-위믹스 재단, 블록체인 기반의 투명 후원 생태계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사회적경제기업을 위한 투자·융자·보증이 궁금하다면
- [지구를 위한 바이소셜] 친환경 제품을 소문내는 기업 '굿스니저'
- [여기서, 바이소셜] 과천에서 자라나는 '아리랑 나무' 아리수, 민요를 노래하다
- "진심을 담아 기록한다" 지역과 함께 만드는 더페이퍼 이야기
- '지방소멸' 통합적인 접근만이 대안 될 수 있어
- 광명시, 사회적경제 및 공정무역 지원사업 성과 공유
- 경기도, 중소기업 ESG 지원사업 만족도 90%대 달성
- 경기도, 시·군 대상 '사회적경제 지역활성화 사업' 공모…사업비 30% 지원
- 경기도, '2024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공모
- 경기도 청년의 5%는 은둔형 외톨이, 소통을 원하지만 의지대로 실천 어려워
- 4월 시흥에 '사회적경제유통지원센터' 개장…입점 사업자 모집
- 경남도, 마산·진주 YMCA와 '공동 협력사업 발굴 회의' 개최
- 경기도, '자립준비청년 부동산 안심·책임 중개' 등 토지분야 86개 과제 추진
- 경기도, 도민 위해 '사회적경제 정책 사용설명서' 핸드북 발간
-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임팩트프랜차이즈 성공모델 발굴 및 육성 협력기관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