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의 침체(?), 돌파구는 사회적금융!!
상태바
신협의 침체(?), 돌파구는 사회적금융!!
신협연구소, 신협의 사회적금융 역할 강화 방안 토론회 개최...사회적금융 공급자이자, 동반자로서 역할 주문
  • 2017.12.08 16:52
  • by 공정경

신협의 침체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신협이 지역재생과 사회적금융 코디네이터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제기됐다. 사회적금융의 공급자이자, 동반자로서 신협에 대한 역할 주문이다.

'신협의 사회적금융 역할 강화 방안 토론회'가 지난 12월6일(수) 오후2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태년의원실 주최, 신협연구소 주관,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와 신협사회적경제정책연구포럼 후원으로 개최됐다.

사회적경제는 국가와 시장의 경계에서 보완적 틈새시장으로 인식됐지만, 저성장, 양극화, 고령화가 전 세계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세계적으로 그 위상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경제 성장의 필수요소는 이를 뒷받침하는 금융이다. 사회적금융은 한국 협동조합운동의 가장 오래된 숙제이자 풀지 못하고 있는 숙제다. 협동조합 성장을 뒷받침하는 금융은 누가 어떻게 누가 해야 하는가? 이 숙제를 풀기 위해 지난 11월 새마을금고에 이어 신협중앙회가 적극적으로 나섰다.

1960년에 설립한 신협은 ‘복지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로 서민들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사회 개발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2000년 초반 경영위기 이후, 저신용 계층에 대한 신용대출 규모를 축소하고 수익성 위주 경영을 확대하면서 협동조합으로서의 정체성이 퇴색됐다. 2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기관 대출경험이 있는 협동조합 비중은 9.2%에 불과하고, 협동조합이 대출받은 금융기관은 일반은행(35.1%), 신용보증재단(24.0%), 농수축협(14.9%), 신협(9.6%) 순으로 조사됐다. 신협이 사회적금융 공급자로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협동조합 금융기관 대출 비중 9.2% 불과...신협이 적극적인 사회적금융 공급자 역할 나서야 

그렇다고 신협이 전혀 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사회적금융을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누구도 명확하게 내놓지 않은 상태에서 지역 협동조합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역할로 가장 먼저 나선 곳이 몇몇 단위 신협이다. 단위 신협은 지역 사회적경제조직에 금융지원, 설립지원, 시설지원, 공간제공을 했다.

동작신협은 협동조합 생태계 구출을 위해 출범한 동작구협동조합협의회 창단멤버로 참여했다. 미니태양광발전소 확대를 위해 ‘우리집솔라론’이라는 상품을 무이자로 지원하고 있고 국사봉중학교협동조합 매점 포스기 지원, 사회적경제조직 저리자금 및 계좌수수료 우대, 공간제공(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을 했다. 북서울신협은 한양대 학생이 금융자조를 위해 협동조합으로 결성한 키다리은행에 금융 인프라 제공과 설립을 도왔다. 키다리은행은 서울시립대, 건국대, 건국대(천안)으로 확산됐다. 화랑신협은 1990년 안산소비자협동조합 설립을 시작으로 2009년 안산의료생협, 경기남부두레생협, 아이쿱안산생협과 우리생협치과 공동개원에 힘을 보탰다.

주민신협은 성남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형성에 중심 구실을 했다. 주민두레생협, 성남바리스타협동조합, 숯골사랑협동조합, 의료생협 등 지역 내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에 직접 참여했고, 시민과 근로자가 설립한 사회적기업 (주)성남시민버스 구매 대출과 사회적기업 인증 지원했다. 2017년에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카드수수료 절감을 위해 성남, 용인 한살림과 협업하고 있다. 같은 건물에 한살림 매장과 주민신협 지점을 함께 두고 신협 체크카드 사용을 유도하여 한살림은 카드수수료 절감, 신협은 조합원 확대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내고 있다.

왼쪽부터 조혜경 한양대 사회적경제대학원 교수, 유영우 논골신협 이사장, 한재준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한재준 교수(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는 발제를 통해 “신협은 수도권 인구 집중으로 인한 지방경제 위축, 젊은 조합원 감소와 조합원 연령의 고령화 등으로 존립의 위기에 처해있다. 이를 타계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금융 공급자이자 동반자로 그 방향을 전향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가 제안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중앙회와 회원신협이 매년 100억원 규모의 자체기금을 조성하고 이 기금에 정부기금 매칭 ▲사회적금융센터를 설립하여 신협의 물적 인적 자원을 공유하고 사회적경제조직이 필요로 하는 컨설팅, 교육, 금융지원 설계  ▲신협중앙회 지역본부 내 사회적경제조직 지원센터 설치를 10개 이상 권역 단위로 확대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한 평가, 여신심사 분석기법 개발 ▲대규모 자금 공급을 위해 다양한 금융공급자가 참여하는 금융컨소시엄 구성 ▲신협 직원 500명을 선발하여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동가로 양성, 유망 사회적기업 발굴

신협, 사회적금융 공급자와 동반자로서 지역재생 및 사회적금융 코디네이터 역할 필요

주민신협 이현배 상임이사는 “신협은 지역재생과 사회적금융 코디네이터 역할을 해야 한다”며 “쉬운 예로, 3910개의 세무법인이 있는 한국세무사회와 MOU를 기획해 세무회계·기장업무를 지도받고 세무회계프로그램은 2년간 무료, 이후에는 최소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추진 중이다. 이와 더불어 신협이 분기별로 회계, 경영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사회적경제조직이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조혜경 교수(한양대 사회적경제대학원)는 “사회적금융이라는 이름의 수많은 토론회를 가봤지만 필요하다는 당위론 이상의 논의는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신협 중앙회가 참여해서 함께 그 길을 같이 만들어보겠다고 제안하는 이 자리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드디어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하는 한발 더 나아가간 자리”라며 “신협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길이 더 확장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제도적 인센티브를 확실하게 만들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