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강준원 교수 연구팀, 미세플라스틱 새로운 위해요소 발견
상태바
동국대 강준원 교수 연구팀, 미세플라스틱 새로운 위해요소 발견
수자원 분야 최상위 학술지 'Water Research [IF=12.8, JCR 상위 0.5% (분야 1위)]'에 게재
  • 2024.03.12 17:36
  • by 정화령 기자
▲ 임지환 석사과정생(제1저자), 강준원 교수(오른쪽).
▲ 임지환 석사과정생(제1저자), 강준원 교수(오른쪽).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최근 식품생명공학과 강준원 교수 연구팀(임지환 석사과정생(제1저자), 강준원 교수(교신저자))이 미세플라스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위해요소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Assessing biofilm formation and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on UV-aged microplastics in aquatic environments'라는 제목으로 수자원 분야 최고 권위지인 'Water Research [IF=12.8, JCR 상위 0.5% (분야 1위)]'에 게재됐다.

지름 5mm 이하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주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형태를 주요 노출 경로로 보고 있다.

인체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신체 조직 기관에 축적돼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한편, 미세플라스틱은 여러 오염 물질을 실어 나르는 전달체로도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최근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서만 집중돼 있으며 이러한 간접적인 형태의 위험성을 평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강 교수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5종(▲LDPE ▲HDPE ▲PET ▲PP ▲PS)에 식중독균(Vibrio parahaemolyticus)을 부착시켜 간접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식중독균이 미세플라스틱에 부착되면 생물막(Biofilm)을 형성해 식품 가공 조건과 섭취 후 위산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식중독을 유발하는 독성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미세플라스틱이 햇빛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어 노화되었을 때 이러한 위험 요소들이 더욱 증가하는 것이 관찰됐다.

이에 식품 내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가하는 위해 요소뿐 아니라 식중독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간접적인 위험 요소 또한 주요하게 평가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강준원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의 새로운 위해 요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으며 식품안전과 국민보건을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