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경기도청 사회적경제국은 지난 13일 경기도의회 북부분원 회의실에서 경기북부사회적경제네트워크 임원진과의 정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경기 북부 지역 사회연대경제(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이번 정담회는 지난 2월 모임에 이은 두 번째 정담회로, 박재용 의원을 비롯하여 경기북부사회적경제네트워크 맹두열 회장, 강상열 연구소장, 최혜영 사무처장, 의정부시사회적경제협회 이평순 회장, 양주시사회적경제협의회 송영진 부회장, 동두천시사회적경제협의회 이옥재 회장, 최희신 부회장, 연천군사회적경제협의회 이정주 회장, 경기도 오후석 행정2부지사, 사회적경제국 김하나 과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경기 북부의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연대경제 육성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정책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
맹두열 회장은 "경기 북부는 '수도권 규제', '접경지역 규제'란 이중 규제를 받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경기도 사회적경제원 경기북부사무소' 설립이 필요하다. 그래야 경기 북부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 및 사업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사회적경제원이 사회적경제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혜영 사무처장은 "최근 공모사업 선정 결과가 소셜벤처기업과 규모가 큰 기업 중심으로 쏠리고 있다. 성과 위주, 경쟁력 위주로 사업을 선정하면 사회연대경제기업이 선정되기 어렵다. 사회연대경제에 특성에 맞는 공모사업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경기북부사회적경제네트워크는 그동안 경기도가 진행한 사회연대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이 남부 지역 중심이었음을 지적하며, 경기 북부 사회연대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략, 예산, 사업이 분리되어 수립·실행돼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러한 요구에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일반적 사업 구조로는 잘하는 곳부터 선정된다. 이는 절차의 공정이 결과의 공정을 낳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실"이라며 "지역에 맞는 특단의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정책화하기 위해서는 경기 북부 10개 시군을 묶어 하나의 목소리로 제안해야 한다. 또한 성과 중심의 사업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이 아닌, 조직·제도의 변화가 수반돼야 한다. 경기 북부의 지원 체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김하나 사회혁신경제과장은 "경기북부사무소 설립은 조직의 문제라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다. 사회연대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군이 움직여야 하고, 올해 시군을 추동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박재용 도의원은 "간절한 곳에서 시작하는 것이고, 경기북부사회적경제네트워크가 역할을 해야 한다. 동두천, 연천은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포천은 15만에서 정체하는 반면, 양주시는 주변 시군의 인구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있다. 양주시와 의정부시가 주변 시군의 성장에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정담회가 논의에 그치지 않고 성과를 내기 위한 역할을 하겠으며, 다음 정담회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