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9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살충제 달결과 살충제 닭은 섭취한 소비자와 양계장 노동자들의 건강영향이 우려된다며 역학조사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달걀과 닭을 많이 소비하는 소비자와 양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건강영향이 우려된다며, 이들에 대한 역학조사가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생리대 사건에 대해서도 사용자에 대한 건강영향 조사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양계장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살충제와 유기용제 노출로 인해 다발성골수종이라고 하는 희귀질환이 발병한 사례를 보고한 연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의 학술논문(201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을 확인했다며, 양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조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인 환경보건시민센터 곽경민 운영위원은 "많은 양계농가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살충제 살포 등 온갖 굳은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건강영향 조사가 필요하다고"고 말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수많은 소비자들이 살충제에 오염된 계란과 닭은 섭취했다. 특히 이들 식품들을 애용하는 어린이와 청소년 등 다소비 소비자들의 건강이 우려된다. 이들에 대한 건강영향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릴리안 생리대 문제에 대해서도 건강영향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식약처가 성분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회사가 환불조치를 하는 것으로 끝내서는 안 된다고 요구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문제를 추적한 책 [빼앗긴 숨]의 저자 안종주 박사(보건학)은 생리대 사건에 대해 “3천명이 넘는 사용자가 각종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식약처와 생리대제조판매사는 가습기살균제 참사로부터 무엇을 배웠는가? 정밀한 건강영향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운영위원인 이종현 박사(환경독성학)는 “가습기살균제, 살충제계란&닭, 생리대 사건은 모두 수십, 수백만의 다수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엄청난 환경보건 사건들이다. 환경보건법 등에 의거해 환경보건과 국민건강문제를 책임지는 환경부와 보건복지부의 질병관리본부가 나서서 이들 사건에 대한 건강영향 역학조사 실시해야 한다. 가습기살균제 초기 역학조사때와 같이 의학, 환경보건학, 독성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품사용환경조사, 노출평가 및 건강영향을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