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한살림 느티나무공동체(괴산)를 견학한 후 단체촬영을 하고 있다. 
▲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한살림 느티나무공동체(괴산)를 견학한 후 단체촬영을 하고 있다. 

한살림과 한국희망재단이 공동 주최한 '아시아 유기농업 생산자 초청 연수 프로그램'이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진행됐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인도, 네팔, 태국, 라오스, 미얀마(버마), 캄보디아, 베트남 등 7개국에서 온 23명의 유기농업 생산자가 참가해 유기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탐구하고 각국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연수 프로그램은 각국의 유기농업 생산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한살림의 생명농업 모델을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한살림은 인도 달리트 여성 유기농업 활성화 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유기농업의 중요성과 민중의 자립을 지원하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달리트는 인도 카스트 제도에 속하지 않은 계층을 말한다.

한살림연합 권옥자 상임대표는 "한살림에서의 배움과 교류의 기회가 참여자분들의 고국에서도 큰 변화를 일으키길 기대한다"라며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총 4박 5일간, 참여자들은 참여인증 필지, 청년공동체, 가공시설, 물류센터, 매장 등 총 9곳의 한살림 현장을 견학하며 유기농업의 다양한 측면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태국에서 온 푸에티폰 지나(PhrueTtipHorn JinA)씨는 "2019년에 우리씨앗농장을 견학한 후 고국에 돌아가 친구들과 씨앗살림운동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안상희 우리씨앗농장 대표 농부는 "여러 나라에서 온 분들과 함께 토종 종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인상 깊다. 우리씨앗살림이 전 세계 운동으로 확장되었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 우리씨앗농장 견학.
▲ 우리씨앗농장 견학.

한살림의 고유한 과정 중심의 친환경 인증제도인 '참여인증' 필지를 방문한 파울라즈 크리슈난(Paulaj Krishnan)씨는 "인도에서는 유기농지 옆에 관행 농지가 많아 유기농을 하더라도 주변 농장에서 날아오는 농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라고 밝히며 "한살림의 참여인증 시스템은 매우 인상 깊다. 우리도 여성 유기농업 협동조합연합회 차원에서 이를 도입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참가자들은 각국 유기농 청년 농업인들이 처한 현실과 도전 과제, 그리고 서로의 농업 기술과 지식을 나누며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한살림의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연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유기농업의 튼튼한 뿌리가 되겠다고 입을 모았다.
 

▲ 한살림 조합원과의 교류회.
▲ 한살림 조합원과의 교류회.

한살림은 사람과 자연, 도시와 농촌이 생명의 끈으로 이어져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생활협동조합이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자연을 지키고 생명을 살리며, 절제된 소비와 조화로운 생활문화를 통해 지구를 보호하는 실천을 하고 있다. 

한국희망재단은 빈곤과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국제적으로 연대하여 인권과 자립을 지원하는 단체로, 다양한 국제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소외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라이프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