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한 해 동안 사회적경제는 얼마나 성장했을까?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사회적경제 활성화'가 국정과제로 채택되면서 사회적경제는 민간과 공공부문에서 빠르게 양적 성장을 이뤄가고 있다. 이를 두고 누군가는 '사회적경제의 시대'라는 표현할 정도다(2019-73호: 사회적경제, 금융생활경제연구소 굿랩). 그만큼 공공과 민간부문, 국내와 해외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가치가 논의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라이프인은 올 한 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경제와 관련하여 어떤 논의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얼마나 실제적 현상으로 연결되었으며, 어떻게 내년도로 이어질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말연시를 맞이하여 일 년간의 성과와 남아 있는 과제를 짚어보고 내년도 사회적경제를 전망해본다. [편집자 주] ① 2019 사회적경제, 결정적 순간들 - 상반기 |










통계 기준 : 사회적기업 2372개 - 고용노동부, 2019년 11월 기준(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9년 12월 기준)/ 협동조합16,842개 - 기획재정부, 2019년 12월 기준/ 마을기업1,592개 - 행정안전부, 2019년 6월기준/ 자활기업1,211개 - 보건복지부, 2018년 기준/ 협동조합현황 - COOP협동조합, 2019년 12월 기준/ 마을기업 운영 현황 - 행정안전부, 2019년 6월 기준/ 지역자활센터 249개 - 보건복지부,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2019년 12월 기준
은행권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 금융위원회, 2019년 1~3분기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