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바이오 기반 산업 소재 제품화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산학연관의 유기적 협조 하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플라스틱 대체 등 친환경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페인트, 코팅소재, 접착제, 플라스틱·폴리머 등을 전략 기술로 선정한 바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추어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29~30일 양일간 서울 구로동 산업교육연구소 세미나실에서 '바이오 기반 산업 소재 최신 제품화 및 성공 사례와 사업 전략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한다.
행사 첫날인 29일에는 ▲화이트바이오 확산을 위한 바이오 기반 산업 소재 제품화 동향과 정부 R&D 지원 방안 ▲바이오 기반 페인트 소재 기술 개발·응용 사례와 현 주소 및 미래 전망 ▲바이오 기반 자가복원 코팅 소재 기술 소개 및 향후 개발 ▲고경도·저마찰 나노복합 코팅용 합금 소재 개발 및 응용 분야 소개 ▲바이오 기반 차세대 디스플레이·이차전지용접착제 기술 개발 및 제품 상용화 동향 등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어 30일에는 ▲바이오 기반 고기능 접착 소재와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고분자(폴리머)기술 및 제품 개발 현황, 국내외 인증과 친환경성 표시 광고 방안 ▲수분 저항성을 갖춘 친환경 고분자 접착제 기술개발과 성공 사례 및 제품 상용화 동향 ▲바이오매스 기반 이소소르비드(Isosorbide) 및 유도체 기술 개발과 제품 상용화 동향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조직재생용 광(光)가교 의료접착제 기술 개발과 제품 상용화 동향 ▲친환경 미래자동차용 바이오플라스틱·고분자 기술 개발과 성공 사례 및 제품 상용화 동향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소 측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바이오 기반 페인트, 코팅소재, 접착제, 플라스틱·폴리머 등 전략 품목 산업 소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관련 소재의 지속적인 연구·기술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응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산업 생태계 구축과 고도화를 위한 기술로 나아가기 위해 비전을 제시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