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식품일까? 아닐까? 알 수가 없네!
상태바
GMO식품일까? 아닐까? 알 수가 없네!
GMO완전표시제 국민청원운동 시작… GMO완전표시제와 GMO없는 학교급식 촉구
  • 2018.03.12 18:50
  • by 공정경 기자
GMO완전표시제 시민청원단이 GMO완전표시제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일인 12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광장에서 'GMO완전표시제와 GMO 없는 학교급식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57개 시민단체가 GMO완전표시제 청와대 국민청원을 시작했다. 'GMO완전표시제 시민청원단'은 국민청원 시작일인 12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광장에서 'GMO완전표시제와 GMO 없는 학교급식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GMO완전표시제 시민청원단에는 경실련, 소비자시민모임, 한살림연합,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한국농업경영중앙연합회, GMO반대전국행동 등 57개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시민청원단은 ▲GMO를 사용한 식품에 예외 없는 GMO표시 ▲공공급식, 학교급식에 GMO식품 사용금지 ▲Non-GMO 표시를 막는 현행 식약처 고시 개정 등을 촉구했다.

곽금순 한살림연합 상임대표는 "2000년부터 GMO 반대운동을 해왔지만 GMO 문제는 거대한 벽 앞에 놓여 있는 것처럼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 너무나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국민들의 먹을거리 문제에 누구보다 민감하게 대응해야 할 정부가 지금까지 GMO 문제를 방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유럽의 많은 나라는 일찍이 GMO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마켓과 식탁에서 GMO를 퇴출했고 GMO-Free를 선언했다. 유럽 정부의 이러한 대응으로 식품회사와 대형유통업체들은 소비자들이 배척하는 GM푸드를 들여놓을 수 없었고, 자사 이미지 강화를 위해서라도 GMO를 사용하지 않겠노라고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한살림을 비롯한 생협들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해 어려운 여건에서 친환경 농업을 지켜왔고 학교급식도 친환경으로 확장해왔다. 그러나 막상 급식현장을 들여다보면 너무나도 많은 GMO 물품이 사용되고 있다.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Non-GMO급식으로 빨리 전환해야 한다. 그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살림연합 조합원들이 곡물 모양의 오브제와 식판을 이용해 Non-GMO 급식 요구를 표현하고 있다.

박인숙 친환경무상급식풀뿌리국민연대 상임대표는 "오늘 이 자리는 GMO에 대해 미투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와 경북을 제외하고 중학교 무상급식까지는 전국적으로 완성되고 있고, 일부는 고등학교까지 무상급식으로 가고 있다. 이제 어른들은 '어떠한 먹을거리를 아이들에게 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법으로 GMO 없는 급식을 만들려고 해도 어떤 것이 GMO인지 아닌지 제대로 표시돼 있지 않아 정책을 추진하기가 어렵다.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음식은 아이들에게 먹이지 않는 것이 어른의 역할이다. 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아이티나 짐바브웨도 GMO 원조를 거부했다. 장기적으로 생태계를 교란하고 국민의 건강을 해치기에 그 극한적 어려움 속에서도 GMO를 거부한 것이다"

김아영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회장은 소비자를 홍길동에 비유했다.

"현행 정부의 표시제는 GMO를 표시하려고 만든 제도인데 GMO는 표시할 수 없고 Non-GMO도 표시할 수 없는 기형적인 제도가 됐다. 홍길동이 생각난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던 홍길동처럼, 소비자는 GMO를 GMO라 부르지 못하고 Non-GMO를 Non-GMO라 부르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로서 GMO완전표시제를 허용해야 한다. 예외 없이 GMO를 표시해야 하고, Non-GMO 대해서도 제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GMO없는 바른먹거리 국민운동본부 오로지 씨는 GMO 문제를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 한국 언론을 비판했다.

"왜 우리가 GMO완전표시제를 원할까? 언론에서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는 소비자 선택권이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GMO를 먹고 ‘안전한가, 질병을 일으키는가’의 문제다. 언론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거의 얘기를 안 한다. 2015년 3월 WHO가 GMO를 2A 등급 발암물질이라고 발표했다. 한국은 전혀 보도를 안했다. WHO 발표에 대해서 몬산토는 반박하는 논문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논문은 독립적인 연구가 아니라고 밝혀졌다. 몬산토가 연구논문을 작성하고 해당 교수가 돈을 받고 이름을 집어넣었다. 결국 몬산토의 조작으로 이뤄진 것이다. 이점에 대해서 한국 언론은 전혀 보도를 안하고 있다."

아이쿱생협 조합원들이 GMO식품이 가득한 쇼핑카트 옆에서 검은 안대를 하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GMO 표시가 없어 국민이 이를 알지 못하고 GMO 식품을 고를 수밖에 없는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

오 씨는 또 하나의 사례를 들었다. 2012년 프랑스 칸대학의 세라리니 교수는 GMO의 위험성을 2년간 상세히 검증한 실험논문을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저널에 제출했다. 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논문심사를 받았고 해당 논문이 실렸다. 발간한 지 불과 몇 시간 뒤 몬산토는 심한 공격을 퍼부었다. 6개월 후 월레스 헤이스(A. Wallace Hay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편집장은 세라리니 연구논문을 철회하게 된다. 그러자 과학자들의 보이콧운동이 일어났고 99개국의 과학자 1391명, 일반인 4019명이 서명한 청원서가 월레스 해이스한테 보내졌다. 결국 세라리니 논문은 2014년 6월 다른 저널 'Environmental Sciences Europe'에서 출판됐다. 그 후 소송과정에서 월레스 헤이스 편집장은 몬산토로부터 1만4천 달러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오 씨는 "지금 이러한 증거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은 논쟁이 아니라 GMO가 질병을 일으킨다는 확실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먼저 자세를 바꿔야 한다. 소비자의 선택권뿐 아니라 GMO가 질병의 원인이라고 기본적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시민청원단이 모은 GMO완전표시제 개정요구 시민서명은 20만 8721건이다. 국회에서도 GMO완전표시제 관련 법안이 5개 발의됐다. 정부 기관인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설문 조사에서도 매년 GMO완전표시제 지지율이 80%를 넘어서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GMO 표시제 강화와 GMO 없는 학교급식을 약속했다.

시민청원단은 "GMO완전표시제의 빠른 도입은 소비자 알권리를 강화하는 효과와 함께 GMO 수입, 유통 관리 체계가 바로잡힐 수 있는 큰 압력이 될 수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행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GMO완전표시제 청와대 국민청원은 3월12일부터 4월11일까지 진행된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