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전문가 기고] 사회적경제, 리빙랩 활동을 통해 고도화시켜 나가야
상태바
[신년기획-전문가 기고] 사회적경제, 리빙랩 활동을 통해 고도화시켜 나가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연구위원 기고
  • 2021.01.18 13:45
  • by 성지은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06:33

사회혁신은 누구의 손으로,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일까.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사회혁신이라는 것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실제 참여로 발걸음을 옮기기까지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민·산·학·연·관의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생활 속 실험실', 리빙랩은 참여에 대한 문턱을 낮추면서 전문가와 시민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연말 사회혁신 수다회 '범내려온다'에 참여해 리빙랩과 사회혁신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이자 한국리빙랩네트워크 PD 성지은 위원이 라이프인에 '사회적경제'와 '리빙랩'의 동반자적 관계에 대한 기고를 보내왔다. [편집자 주]

 

▲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사회적경제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혁신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렇게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면서 조직의 역량을 어떻게 성장시키고 외부의 산·학·연·관 주체와 어떤 방식으로 연계·협력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경제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과 암묵지, 시민사회와 맺고 있는 네트워크를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가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과제이다. 

최근 이와 관련해서 리빙랩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역량과 네트워크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리빙랩은 유럽·아시아·아프리카 등에서 부각되고 있는 새로운 사회·혁신·정부·산업 혁신모델로서,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탐색·실험하는 개방형·참여형 혁신 방법론이자 민·산·학·연·관의 협력 모델이다. 

사회적경제조직은 리빙랩 활동에 참여해서 관련 산학연관 관련 주체들과 함께 사회문제 해결 대안을 탐색하고 연구개발하고, 개발된 시제품을 실증하며, 제품을 기반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구현하면서 새로운 혁신 주체이자 문제해결 주체로 성장하고 있다. 몇몇 조직은 개별 사회문제 해결을 넘어 지속가능한 공유·돌봄·에너지·순환경제로의 전환 등 전체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의 전망을 둔 전략적 니치 실험이자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성대골 에너지 전환마을(이하 성대골)을 들 수 있다. 성대골은 후쿠시마 사태를 계기로 시민사회 주도의 에너지 전환을 진행해 오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지역이다.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한 공동체 운동에서 시작해 현재는 에너지 전환의 플랫폼으로 성장하는데 리빙랩이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해 왔다. 

2012년 성대골은 서울시의 에너지자립마을로 선정되어 지역 차원에서의 에너지 전환 비전을 형성하고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한 절전 운동을 진행하면서 주민들을 조직화하기 시작했다.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리빙랩 개념을 접하게 되고 서울시 지원을 받아 리빙랩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진행하면서 주민과 마을조직의 역량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 성대골 마을기업의 모습. ⓒ라이프인
▲ 성대골 마을기업의 모습. ⓒ라이프인

이를 기반으로 성대골은 2016년 에너지 수용성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산업부가 기존 에너지 R&D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리빙랩을 처음 도입한 R&D사업으로, R&D 전문조직이 아닌 정책연구소가 주관이 되고 마을이 참여한 첫 번째 사례였다. 성대골은 이 사업을 통해  정부, 연구기관, 기업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면서 전문조직과 협업을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도시지역에서 사용되는 미니태양광을 지역주민과 DIY 방식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전문기관과의 협업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은 물론, 전문성과 시민성을 갖춘 활동 주체로 마을연구원을 조직화하였다.  

현재 성대골이 축적한 이러한 경험·지식과 인력·인프라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전환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성대골은 2020년 성대골 시장 옥상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지역을 지능형 전력망으로 묶어 가상발전소를 운영하는 에너지 생산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시장 상인들이 합류하면서 사업의 규모도 커지고 기술적 난이도도 높은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또 지역주택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위한 마을기술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주·완주 등 농촌지역의 에너지 전환 마을과도 협업하면서 성대골의 경험을 스케일 업하고 있다.   

의료·케어·돌봄을 통해 지역 플랫폼으로 성장해 가는 사례가 있다.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하 민들레의료사협)은 2002년에 설립된 지역주민이 협동조합 형태로 만든 의료기관이다. 환자를 치료 목적이 아닌 건강반 모임을 운영하면서 지역주민을 조직화하고 건강관리까지 담당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이다. 주민건강공동체로 조합원의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민들레의료사협은 리빙랩 운영에 필요한 조직화된 사용자 그룹을 갖추게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2015년 과기부의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 리빙랩 운영조직으로 참여하게 된다. 당뇨병이 있는 조합원을 중심으로 인슐린주입기 개선 활동을 수행하면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운영방식과 리빙랩 활동을 경험하게 되었다. 산·학 전문조직과의 협업 경험 및 노하우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2018년에는 조직화된 사용자 기반, 연구개발사업 참여 및 리빙랩 경험을 기반으로 지역기반 사회적경제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산업부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사업에 참여했다. 수혜자 상황에 맞는 맞춤형 통합 돌봄을 위해 ICT를 활용하여 사회서비스 공급자를 엮는 기술적·조직적 플랫폼 구축 작업을 사회·혁신 주체들과 함께 진행한 것이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민들레의료사협은 민-관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통합돌봄 시스템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대전시·대덕구 등 지지체뿐만 아니라 충남대·대전대 등 지역대학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의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과 연대를 강화해 나가면서 커뮤니티 케어를 위한 지역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렇게 전문성과 시민성이 결합되는 리빙랩은 사회적경제의 연대·협력 및 개방성을 제고시키고 지식집약도를 향상시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사회적경제조직은 연구개발 활동을 산·학·연·관 전문조직과 공동으로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지식·경험·노하우를 축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빙랩 운영에 참여하는 마을연구원이나 건강반 회원과 같은 시민·사용자 그룹을 조직화하고 성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의 제도화 및 주류화가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리빙랩은 이들의 조직 및 활동을 고도화하고 스케일 업 하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도 리빙랩 활동을 중심으로 민·산·학·연·관 주체들을 엮어내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리빙랩 운영 경험·노하우를 공유하고 교류를 다지는 것을 목표로, 2017년 3월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KNoLL: Korean Network of Living Labs)가 발족되어 격월별로 포럼을 진행해 왔으며, 2020년 11월 '리빙랩 플랫폼과 지역자산화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리빙랩'이라는 주제로 21차 포럼이 전주에서 개최되었다. 광주·대구·부산·전북·경남·대전 등 지역별 및 대학·스마티시티 등 영역별로 리빙랩 네트워크 발족과 함께, 일본·네덜란드 등 해외 리빙랩 활동과의 연계·교류도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관련 주체 간의 플랫폼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2020년 5월부터는 민·산·학·연·관 각 분야 리빙랩 주체를 대상으로 활동 내용, 성과, 어려움, 향후 계획 등에 대해 듣는 좌담 형식의 유튜브 방송(한국리빙랩네트워크TV: https://www.youtube.com/channel/UCYMDRg3zhEJsw6NimMqx5vg/)을 시작했다. 리빙랩 야부리(冶扶漓:  도야하고(冶), 서로 도우며(扶), 스며들게 하는(漓) 감성 충만 토크) 방송을 통해 리빙랩 활동 경험과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향후 비전과 계획을 소개함으로써 리빙랩 활동의 조직화·고도화·스케일 업을 시도하고 있다. 

리빙랩은 결국 관계를 확장해 나가고 지속적인 협력을 이끌어내는 개념이자 방법론이다. 사회적경제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전문성·지속성의 문제를 극복하고 문제·자원·지식·인프라를 가진 새로운 주체와의 연계·협력을 이뤄나가는데 리빙랩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지은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