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민사회, 지난 4년간 한국의 SDGs 이행현황 담은 '2020 HLPF 한국시민사회보고서' 유엔 제출
상태바
한국시민사회, 지난 4년간 한국의 SDGs 이행현황 담은 '2020 HLPF 한국시민사회보고서' 유엔 제출
오는 7월 7일부터 16일까지 유엔에서 열리는 '고위급 정치포럼'을 맞아, 한국 시민사회 지난 4년간 한국의 SDGs 이행현황 담은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
  • 2020.06.09 11:09
  • by 이진백 기자
17개 유엔 SDGs 이미지.
▲ 17개 유엔 SDGs 이미지.

오는 7월 7일부터 16일까지 유엔에서 열리는 '고위급 정치포럼'을 맞아,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이하 'SDGs시민넷')는 '2020 HLPF 대응 한국시민사회보고서'를 지난 5일 유엔에 제출했다. 

한국시민사회보고서는 한국시민사회SDGs네트워크(SDGs시민넷) 29개 회원단체들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굿네이버스가 협력해 함께 작성했다. 2월 말 SDGs시민넷 10개 단체 및 협력단체 등 12개 단체들과의 준비회의를 시작으로, 3월부터 5월까지 초안 작성 및 온라인 공개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최종 완성됐다. 한국시민사회보고서는 국문과 영문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시민사회SDGs네트워크(SDGs시민넷) 홈페이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매년 7월 초,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가 주최하는 '고위급 정치포럼(Hight-level Political Forum)'은 정부뿐만 아니라 여성, 장애인, 농민, 노동자, 시민단체, 기업 등 13개 이해관계자그룹들이 참여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이행을 점검하고 새로운 이슈를 논의하는 숙의공론화 장으로, 유엔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자발적 보고서를 받고 있다.

올해 고위급 정치포럼의 주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10년'으로 ▲인간 웰빙 증진 및 빈곤퇴치(SDG 1, 3, 4, 6, 16, 17) ▲기아종식 및 식량안보 달성(SDG 2, 3 ,17)  ▲경제성장 재개, 경제적 이익 공유, 개도국 재정위기 해소(SDG 5, 7, 8, 10, 17) ▲지구 보호 및 복원력 구축(SDG 12, 13, 14, 15, 17) ▲지속가능한 에너지 접근보장 ▲이행촉진을 위한 지역실천 강화(SDG 9, 11, 17) 등 6개 주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지난 4년의 평가와 향후 10년을 위한 실천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올해로 4번째 발간되는 '2020 HLPF 한국시민사회보고서'는 참여단체들의 전문 운동분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접근성' 분야를 제외한 5개 분야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졌다. 총 14개 SDGs의 41개 세부목표에 대한 한국의 이행현황이 15개 이슈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검토되었으며, 정책제안과 시민사회 실천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지난 4년 동안 지속가능발전의 핵심 가치인 친환경성, 포용성, 국내외 민관 파트너십을 구현하기 위한 근본적인 노력이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동안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책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체계를 제도화하고, SDGs를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점검하는 정부기구를 설치하는 등 거버넌스 구조의 혁신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반적으로 미래 산업의 친환경성과 기후변화대응 보다 IT중심의 기술개발에만 초점이 맞춰져 20세기의 대량 소비생산방식을 구조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 4년 동안 친환경농산물 생산면적은 제자리걸음인데 반해, 같은 기간 IT 기반 농업경영인 '스마트 팜(Smart Farm)'은 1.8~7배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 소비가 많은 대학캠퍼스의 경우, 국공립대학교의 온실가스 감축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기후변화대응이 선언만 있을 뿐 현장에서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2017년 기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이 OECD 국가 중 5위로 증가 추세인데다, 배출량의 86.8%가 에너지부문인 것을 고려하면, 경제 및 산업분야 혁신정책 전반에 걸쳐 '친환경성'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또 다른 주요 요소 중 하나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발굴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포용하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정치·경제·사회·환경정책 전반에 걸쳐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세농어민, 비정규·특수 노동자, 장애인, 아동, 이주민 등에 대한 인권보호와 경제적으로 자활하기 위한 지원정책이 상당히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고등교육 기회 불평등에서부터 높은 실업률 및 일자리 제한, 시설수용과 특수 교통수단 부족 등 사회공동체로부터 구조적으로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의사결정의 대표적인 참여구조가 정부위원회인데, 장애인위원 비중은 1%도 못 미쳐 애초에 '무장애(No barrier)' 관점이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정부위원회 구성 기준의 개혁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체계를 제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SDGs 실천과 관련해, 지금까지 드러난 현상들만 봐도 디지털 격차 등 불평등 구조 심화, 장애인 등 사회 소수그룹에 대한 차별 등 포용성 가치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또한 최근 한국정부가 코로나19 이후 경제 부양정책으로 '그린뉴딜'을 내세웠지만 정보통신(IT)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산업 인프라 건설에 방점이 찍혀 있을 뿐, '그린 뉴딜'이 함의하고 있는 친환경성과 포용성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은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지금과 같은 20세기 방식의 경제·산업개발정책 기조가 유지될 경우, 코로나19 방역 역량을 통해 보여주었던 한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무색하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차원의 노력에는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21세기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2030년까지 달성 기한을 둔 세계 공동의 개혁과제로써, 2015년 9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됐다. 경제·사회·환경·제도·이행수단 등을 아우르는 17개 목표로 이루어져 있으며, 17개 목표는 다시 169개 세부목표로 구성된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